본문 바로가기
일상생활

4대보험 징수포털 사이트 한눈에 보기: 가입부터 납부 확인까지 완벽 정리

by 애즈센스 2025. 7. 24.

'4대보험 징수 포털 사이트'는 직장인이나 사업자라면 한 번쯤은 접하게 되는 사이트 이지만 아직도 어떻게 이용하는지 몰라 헤매는 분들이 많습니다.

 


이 글에서 4대보험 징수포털의 기능과 활용법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목차

 

4대보험 징수포털 사이트 한눈에 보기: 가입부터 납부 확인까지 완벽 정리

 

 

4대보험 징수 포털사이트란

 

‘4대보험 징수 포털사이트’는 국민연금공단, 건강보험공단, 고용노동부 등에서 관리하는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, 산재보험 등의 보험료를 통합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.
사업주는 물론이고 근로자도 자신이 납부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소득 증빙이나 대출 서류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.

 

4대보험 포털사이트 바로가기

 

사이트 주소는 si4n.nps.or.kr로, 국민연금공단에서 운영합니다.
인터넷 익스플로러보다는 크롬 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하며, 공인인증서(공동인증서)나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가능합니다.

 

회원가입 및 로그인 방법 안내

 

4대보험 징수포털은 사업자와 개인 모두 가입이 가능합니다.
개인 사용자는 주민등록번호와 공동인증서로 간편하게 가입하며, 사업자는 사업자등록번호를 이용해 법인 또는 개인사업자 인증을 거칩니다.


로그인 시 공동인증서 외에도 네이버, 카카오, PASS 등 간편 인증 방식도 지원되어 접근성이 좋습니다.
가입 완료 후에는 본인 인증만 거치면 다양한 보험 정보를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.

 

4대보험 납부확인서 출력 방법

 

가장 많이 찾는 기능 중 하나가 바로 4대보험 납부확인서 출력입니다.
이 문서는 주로 이직, 전세자금대출,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등에 사용되며, 포털사이트 로그인 후
➤ [납부내역조회] > [보험료 납부확인서 출력] 메뉴를 클릭하면 바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
PDF 저장도 가능하며, 필요한 기간만 설정해서 받을 수 있어 유용합니다.
단, 출력 시에는 프린터 연결 또는 저장 경로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4대보험 징수 포털을 통한 업무 활용 팁

 

사업자 입장에서는 4대보험 포털을 통해 직원들의 월별 보험료 산정 및 고지서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또한 ‘신규 직원을 등록’하거나 ‘퇴사자 자격 상실 처리’도 바로 가능해, 일일이 공단별로 이동할 필요가 없습니다.
회계 담당자나 사무보조 인력에게는 이 포털이 시간 절약과 정확한 자료 관리에 핵심 도구가 됩니다.
모바일에서는 이용이 어려우므로 반드시 PC 웹 환경에서 접속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 

 

👉 Tip:
4대보험 징수포털을 제대로 활용하면, 관련 업무 처리 시간이 절반 이하로 줄어듭니다.
필요한 정보를 바로 찾고 출력할 수 있는 만큼, 북마크 해두고 자주 활용해 보세요!
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5년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과 간편 바로가기  (0) 2025.07.25